청약 서류를 준비하면서

어려웠던 부분이 있었다면

"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"

라고 할 수 있다.

 

아래와 같이 정부24와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는데,

나는 정부24에서 신청하였다.

 

주소는 하기와 같다.

https://www.gov.kr/main?a=AA020InfoCappViewApp&HighCtgCD=A09002&CappBizCD=13100000084

만약 정부24 홈페이지로 바로 들어가 신청할 경우,

https://www.gov.kr/portal/main

자주 찾는 서비스에 "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"이 있으니 당황하지 말자.

 

 

이제 "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" 민원신청서 작성 페이지로 들어가면,

하기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.

 

로그인은 미리 해두자.

 

이제 각 항목들을 어떻게 채워넣는지 보자.

구분/개인/주소는 알아서 채워져서 조회된다.

 

1) 주민등록번호표기방법 : 전체표기

청약서류특성상 거의 대부분 주민등록번호는 표기하는 것으로 되어있는듯 하다

 

2) 과세물건지 주소선택 : 이건 우측 주소검색을 눌러, 자신 주소지를 입력

나는 주소지가 동일하기 때문에, 동일하게 입력했다.

 

3) 과세년도 : 지금이 2022년이라면, 2021~2021로 설정

기본 설정은 전년도~금년도로 되어있고, 내가 청약하는 단지는 따로 기준이 명기되지 않았다.

보통 전년도 소득이 기준이기 때문에, 전년도 기준으로 작성한다.

다른 단지 청약서류의 경우 년도 기재가 별도로 되어있는지는 확인해보자.

 

4) 사용목적 : 청약 or 기타로 설정

 

다 되었다면 하기와 같이 나온다.

 

잘 신청된 사람들은 하기와 같이 나온다.

세대주 남편님의 과세증명서이다

 

 

하지만, 나는 "세대원+자동차없음"으로

과세내역 목록이 아예없고, 서류도 하나도 안나온다.

" 데이터 없음 "

두둥!!

 

이런 경우에 방법은 바로 

다시 정부 24의 "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" 페이지로 돌아가면,

총 4개 항목이 있는데,

그 중에 " 미과세증명 " 이걸 눌러서 해결한다.

 

https://www.gov.kr/mw/EgovPageLink.do?link=minwon/AA040_form2_e2e

 

미과세증명을 선택하고, " 지방세 세목별 미과세 증명 신청 "

으로 이름이 바뀐 입력창이 나온다.

동일하게 입력~ 입력~

 

민원 신청하기 클릭 후,

하기와 같이 또 미과세목록 창이 뜬다.

끝인줄 알았는데..?

당황하지 말고,전체 선택 → 확인→민원신청하기 (2번) 을 누른다.

민원 신청 페이지에서 민원 신청하기를 클릭!

 

 확인을 누르면, 요로코롬 신청내용이 생기면서 추가된다.

민원 신청하기 클릭 후,

또 신청내용이 세목전체선택:Y로 바뀜

민원 신청하기 클릭을 한번 더 한다.

 

민원신청하기 눌렀는데, 동일한 페이지인줄 알고 당황하지 말자. ㅎㅎ

완료하면, 드디어! 드디어!

"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" 가 나온다. (과세 없음으로)

이 서류를 청약 서류로 제출하면된다.

내가 어려웠던 만큼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되길 바라며..ㅎㅎ

+ Recent posts